입장 바꿔 생각해봐, 하고 식물이 말했다.물을 꼬박꼬박 줬는데 식물이 죽어버렸다고요?
박영기23. 04. 24 · 읽음 1,441

식물 킬러라고 자책하는 분들께 저는 오히려 수경 재배를 권합니다. 집에서 시도하기에 좋고, 흙에서 키우는 것보다 잘 자라거든요. 수경 재배에 입문하려면 먼저 식물이 살아가는 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식물이 광합성 하는 이유?

내연 기관을 가진 자동차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한번 떠올려봅시다. 자동차는 연료를 연소하여 운동 에너지를 얻죠. 생물체도 똑같습니다. 연료를 연소하여 에너지를 얻습니다. 생물체의 연료가 바로 영양분이고, 이것이 연소되는 과정을 세포 호흡이라 합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박영기

동물과 식물을 비교해봅시다. 동물은 활동량이 많아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많은 영양분이 필요하고 호흡도 많이 해야 합니다. 이 많은 영양분을 충당하기 위해 동물은 다른 생물을 먹이로 하여 그 생물이 만들어놓은 영양분을 취합니다. 반면, 식물은 활동량이 적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이 적고 호흡도 동물보다 훨씬 적게 합니다. 그래서 다른 생물을 먹이로 삼을 필요가 없습니다. 녹색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어내죠.

식물의 엽록체 확대 사진

식물은 광합성을 하기 위해 가시광선 영역의 빛 에너지를 이용합니다. 가시광선은 빨강, 초록, 파랑, 삼원색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광합성이 일어나는 엽록소는 초록색 빛을 반사하고 파란색과 빨간색 빛을 흡수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킵니다. 즉, 광합성에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빛이 주로 사용됩니다. 광합성에는 빛의 색깔과 세기가 중요하지 빛의 원천은 상관이 없습니다. 형광등에서 나온 빛이든 엘이디에서 나온 빛이든 빛의 색깔과 세기가 같다면 같은 양의 광합성을 합니다. 환경이 여의치 않을 때 햇빛 대신 식물등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지요.

식물은 가시광선의 파란색과 빨간색 빛을 흡수해 광합성합니다.  photo by Wikipedia

소화기관 없는 식물이 영양분을 섭취하는 법

식물에게 필요한 영양분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식물을 이루고 있는 원소를 알아보면 됩니다. 식물은 탄소 약 45퍼센트, 산소 약 42퍼센트, 수소 5퍼센트, 질소 1, 2퍼센트와 나머지 소량의 원소로 이뤄져 있어요. 즉, 식물이 자라면서 이러한 원소를 외부로부터 얻으려 할 거라는 뜻이지요.

우리가 먹은 음식은 소화기관에서 분해한 후에 몸에서 흡수하게 됩니다. 그러나 식물은 소화기관이 없기 때문에 이미 분해가 된 영양소만 흡수할 수 있습니다. 뿌리에서 황은 황산이온으로, 질소는 질산이온이나 암모늄이온으로, 인은 인산이온으로 흡수합니다.

식물은 뿌리를 통해 영양소를 흡수합니다. ©박영기

이와 같이 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는 대부분 무기물의 이온 형태로 흡수됩니다. 무기질 비료를 주면 물에 녹아 금방 이온화되기 때문에 곧바로 흡수할 수 있습니다. 유기질 비료는 다른 생명체 등에 의해 분해되어 무기질이 되어야만 비로소 흡수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새로 들인 식물이 금방 시드는 이유

화분을 들이고 얼마 안 있어 식물을 죽이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대부분 물을 많이 주어서 그렇습니다. 식물의 뿌리는 살아 있는 세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호흡을 합니다. 흙 속의 틈에 있는 공기로부터 산소를 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뱉어냅니다. 그런데 물을 많이 주면 흙 속의 틈 속에 있던 공기가 밀려나고 물로 차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뿌리의 세포들이 질식사하게 됩니다. 뿌리의 죽음은 곧 식물의 죽음을 뜻합니다.

식물의 뿌리는 호흡을 해야 살 수 있습니다.

동물이든 식물이든 굶는 것은 잘 견디지만 물 없이는 오래 견디지 못합니다. 물을 잘 주었는데도 몇 주 안에 식물이 갑자기 죽어간다면 뿌리가 죽어서 곁에 물이 있어도 흡수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일 때가 많습니다.

물론, 수경 재배로 키운다면 얘기가 다르겠죠? 다음 글에서는 요즘 핫한 수경 재배의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36
박영기
팔로워

성북수경재배네트워크 대표로, 수경 재배를 통해 도시 농업을 실천하며 수경 재배를 이용한 조형 예술을 개척하고 있다. 블로그 '파릇한 수경재배'에서 수경 재배 콘텐츠를 소개한다.

댓글 36

첫 번째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이런 글은 어떠세요? 👀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