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출판 단지의 나무들
꽃사슴24. 09. 07 · 읽음 60

이번 주말 파주에서 하는 '파주 북소리' 북 페어에 다녀 왔어요. 파주는 출판사와 인쇄소가 여러 개 모여 있는 출판 단지가 있는 도시라 특색을 살려 매년 북페어를 하지요. 특별히 '내 곁의 나무와 발 아래 풀'이라는 이름의 생태 워크숍을 콕 집어서 갔지요. 뭐 그로니의 의무 사항 아니겠습니까?

 

사계절 출판사의 강맑실 대표님이 하는 생태 해설이었어요.

 

출판사 대표면서도 식물에 대한 사랑이 대단하셔서 숲 해설가이시도 합니다. 이름이 특이하기도 해서 바로 콕 찝어서 갔지요. 파주 출판 단지는 아름답고 예술적인 출판사 건물 사이로 싱그러운 나무와 식물들이 많아요. 

 

출판 단지의 허브 격인 '아시아 출판 문화 정보 센터' 맞은 편에는 소나무 숲이 있어요. 거기에 있는 소나무들은 한국 토종 소나무입니다. 키도 크고 쭉쭉 뻗어 멋지지요.

 

그런데 우리 나라 보통 산에 많은 나무들은 '리가니' 소나무입니다. 1970년대 미국에서 들여온 소나무에요. 1970년대에는 우리 나라 산에 지금처럼 산이 많지 않았어요. 사람들이 나무를 베어 장작으로 만들어 집에서 불을 피웠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산이 민둥산이 되어 홍수가 많이 났다고 해요.

그런데 박정희 정권 때 산에서 나무 베기를 금지하고 리가니 소나무를 많이 들여와 심었다고 합니다. 리가니 소나무는 특히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리가니 소나무는 잘 자라서 우리 나라 산을 푸르게 만들어 줬지만 폐해도 있었어요. 목재로서의 가치가 낮아요. 

 

우리 나라 산이 다시 무성해 지면서 수종을 바꿔 토종 소나무를 심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지금 파주 출판 단지에 있는 소나무들은 토종 소나무에요. 리가니 소나무는 나뭇 가지에 옹이가 많고 가지 중간에 솔잎이 송충이처럼 나서 자라 이쁘지 않은 데 비해 우리나라 토종 소나무는 선비처럼 하늘을 향해 쭉쭉 뻗고 솔잎도 2 개 잎으로 수려하게 잘 생겼지요. 

 

참! 소나무 중에는 세금을 내는 소나무가 있다고 해요. 경북 예천에 있는 '석송령' 소나무인데, 소나무가 소유한 재산이 있어 1년에 16만원 정도 지금도 세금을 내고 있다고 합니다. 1930년대 이 마을 주민인 이수목이 자신의 땅에 있는 이 나무를 좋아했대요. 죽을 즈음에 자식이 없어 소유한 재산을 나무 밑으로 등록을 시켰다고 해요. 당시만 해도 주민 등록 제도가 없어 소나무도 재산을 소유하는 게 가능했다고 합니다. 석송령이 소유한 땅에서 나오는 농산물들은 장학 재단에 기부하는 등 좋은 일을 많이 하는 나무라고 합니다.

 

'아시아 출판 문화 단지 센터'에서 출판사 '문학 동네' 쪽으로 가는 길에는 자작 나무 몇 그루가 서 있어요. 

 

자작 나무는 하얀 껍질로 유명해서 하얀 나무로 불리기도 하지요. 그래서 백석의 아름다운 시 '백화'는 자작 나무를 노래하는 시입니다. '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 나무다'로 시작해서 고향 함경도를 그리워하는 시입니다.

 

자작 나무는 원래 시베리아가 원산지이고 추운 날씨를 견디기 위해 온 몸에 하얗고 얇은 꼅질을 많이 만들어 냅니다. 여러 겹의 하얀 껍질을 만들어 보온성을 키우는 거죠. 그래서 원래는 추운 함경도, 평안도 지방에서 크는 나무로 그 곳 사람들은 자작 나무 껍질을 뜯어 집에서 불쏘시개로 썼다고 합니다. 불을 태우면 '자작 자작' 소리가 나서 자작 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대요. 

 

그런데 파주 출판 단지에 있는 자작 나무는 하얗지 않아요. 날이 북쪽처럼 춥지 않으니 굳이 하얀 껍질을 만들 필요가 없는 거죠. 그래서 거무 튀튀하고 못 생겨졌대요. 사람들은 하얀 나무가 예뻐서 남쪽 여기 저기에 심어 놓았지만 자작 나무는 자신에게 맞지 않는 곳에 살다 보니 힘든 모양입니다. 다 자기가 맞는 곳에서 리즈 시절을 맞는 거겠지요. 

 

이 외에도 참나무, 벚나무, 조릿대 등 파주 출판 단지에는 많은 나무들과 식물들이 살아요. 다음 편에는 아름다운 출판사 건물들과 함게 이야기를 풀어 볼게요. 

 

 

12
꽃사슴
팔로워

20 여년간 식물이들과 함께 한 식집사

댓글 12

첫 번째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전체 스토리

    이런 글은 어떠세요? 👀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