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PICK
제대로 알고 키우자! 식물체내에서 물이 이동하는 순서
g19211125. 03. 14 · 읽음 177

과습을 때 왜 식물이 죽고, 

물이 부족하면 왜 식물이 죽고, 

영양분이 과도해도 왜 식물이 죽는지 모르시는 분 계신가요?

 

그냥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당연한 원리지만,

그 원리 마저 자세히 파해치면 식물을 쉽게 죽이는 사람도 더 이상 식물을 죽이지 않을 수 있게 된답니다. 


 

1) 물의 이동:  흙 -> 뿌리

그냥 단순히 흙속의 물이 뿌리로 들어가는 걸까요?

 

"뿌리는 물을 흡수하지 않아요!"

 

이게 무슨 소리인지 도통 이해가 가지 않으실 분들도 계실 것이라 생각해요,

정확히 말하자면 뿌리는 양분능동적으로 흡수하고, 수동적으로 흡수해요!

- 삼투압

뿌리털에서 흙 속 양분을 흡수하면, 자연스럽게 뿌리의 농도가 높아지고, 

삽투압에 의해 물이 자연스럽게 뿌리 속으로 이동하게 된답니다. 

그래서 뿌리에 있는 물관으로 이동하고, 물관을 타고 줄기 부근으로 올라가게 된답니다 :)

 

+) 과습의 경우, 뿌리는 물을 비정상적으로 흡수하게 됩니다!

그리고 흙 속 숨구멍도 전부 물로 꽉차서 흡수해야할 산소도 없게 되지요,,,

결국 식물은 살아가기 위해 에너지를 만들어야하며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물, 산소를 써야하는데,

이 부족하게 된다면  에너지가 생성되지 않아 죽겠죠! 

 

[ 물 -> 뿌리털 -> 뿌리 표피 -> 뿌리  물관 ]

 

 

 

2) 물의 이동:  뿌리 -> 줄기 -> 잎

뿌리에서 계속 물이 들어오니 줄기 쪽으로 예전에 들어온 물이 밀리고, 

잎에서는 물을 게속 발산하니 물이 부족하여 줄기 쪽에 있는 물을 땡겨 쓰기 때문에, 

줄기에서 물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답니다. 

또, 물(H2O)끼리는 서로 뭉치려고 하는 특성이 있어

하나가 앞으로 가면 우르르 따라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

 

이렇게 줄기에서 물이 이동하게 됩니다. 

 

[(뿌리)물관 -> (줄기)물관 -> 잎(물관)]

 

 

3) 물의 이동:  잎 -> 대기

잎 뒷면에 있는 기공을 다들 아시나요? 

이부분을 통해서 물이 공기중으로 빠져 나가게 됩니다. 

만약 물이 부족하면 공변세포가 쪼그라 들어서 기공이 닫히고, 

기공이 닫히면, 공기 중 산소가 더이상 들어올 수 없게 되어 식물은 죽게 됩니다ㅜㅜ

 

[잎(물관) -> 잎(기공) -> 대기]


 

물이 이동하는 원리를 알게 되면, 

식물의 모습을 직접 진단하여 물을 조절하여 줄 수 있게 된답니다~

9
g192111
팔로워

안녕하세요. g192111입니다.

댓글 9

첫 번째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전체 스토리

    이런 글은 어떠세요? 👀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