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신촌 '오늘의 책'의 종말과 우리, '그날'이 이미 왔기 때문인가?
연세대 앞의 유일한 인문 사회과학 서점인 '오늘의 책'은 지난 1985년 개점해 신촌 대학가 문화공간의 한 축을 담당해 왔다. 단순히 책을 고르는 공간뿐만 아니라 세미나의 커리큘럼을 작성하고, 시위 중에는 신분 보호를 위해 가방을 맡기는 곳이기도 했다. -오마이뉴스 기사 <신촌 '오늘의 책'의 종말과 우리, '그날'이 이미 왔기 때문인가?> 본문 중-
‘오늘의 책’은 요즘 세대에게 아리송한 이름이다. 일간 베스트셀러의 대명사처럼 보이지만 X세대에게 익숙한 서점 이름이다. 정확히 ‘사라진 서점’의 이름이다. 개인적인 평가로 '인생 책방'으로 여기며 가슴 속에 그 이름을 간직하고 있다. 보통 서점, 책방이라 하면, 교과 전공 도서, 자기 계발서나 베스트셀러의 인기 작가 책을 떠 올리기 마련이다. 아니면, '사회과학 인문 전문 도서'를 찾는 책벌레들의 아지트를 그려내기도 쉽다. 그러나, '오늘의 책'은 80~90년대 신촌의 청춘들에게는 다른 이미지가 있다.

별다방과 콩다방은 고사하고 '커피 전문점'이라고는 ‘자댕’과 ‘비인’ 등이 있었지만, 주머니 가벼운 학생들에게는 50~100원짜리 학생회관 생활협동조합 자판기 커피가 대세였다. 그 시절, 여전히 차를 마시며 담소하고 신선한 만남을 도모하던 곳은 ‘다방’이었다. 신촌에는 그 유명한 ‘독수리 다방’이 있었다. 그리고 주문하면서 자리에 앉으면 짜장이 나와 있던 전설의 '초원각'과 함께 3대 핫플레이스였던 꼭 알아야만 했던 필수 장소가 '오늘의 책'이었다. 오늘의 책은 책을 사고파는 ‘서점’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휴대전화는커녕 삐삐(호출기)조차 없었던 시절에 중요한 약속, 급한 공지, 그리고 시간 때울 거리를 찾기엔 어려움이 많았다. 그럴 때면 '오늘의 책'을 찾아가면 해결이 되곤 하였다. 공책이나 수첩, 리포트 용지를 부욱 찢어 벽에 다닥다닥 붙여놓고 당일 만남을 도모하던 그 시절, '오늘의 책'은 그 약속의 메모와 급한 전갈의 ‘사서함’이 되었다. 중요한 약속의 변경, 연인과의 알콩달콩 교신, 갈 곳 못 찾은 공강 시간의 쉼터, 주저함 많은 복학생에게 주는 정보, 그리고 외로움 피할 친구들의 흔적이 남겨져 있던 곳이 ‘오늘의 책’이었다. 신촌역 앞의 '홍익문고'가 계획된 약속의 접선지였다면, '오늘의 책'은 소위 번개의 '랑데부 포인트'가 되었다.
오늘의 책이 처음부터 골목 안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 1980년대 오늘의 책은 연대 앞 신촌 로터리로 향하는 도로변에 있었다. 뒷문의 ‘약속’ 판에는 매일 밤 수백 건의 약속 메모가 붙었다. ‘삐삐’가 보편화되고 휴대폰이 보급되면서 약속 쪽지는 줄어들었다. 그리고 오늘의 책 자리는 SK텔레콤으로 넘어갔다. 기자가 찾아간 10월 7일, SK텔레콤은 ‘T브로드밴드’라는 이름으로 여전히 건재했다. -경향신문 기사 <그 많던 사회과학서점은 어디로 갔을까> 본문 중-

뉴밀레니엄 시대가 왔다고 크게 달라진 것은 없는 듯했다. 학교에 남아있었다면 학번이 00, 01…. 로 바뀐 것, 그리고 대학에 외부 자본이 투입되어 생협의 공간에 캐이터링 업체들이 자리 잡고, 주차비를 받아 내는 게이트웨이 등 변화를 직감했을지도 모른다. 교문 밖은 변화가 더 심했을 것이다. 대부분의 대학 앞이 '주거지구'였는데, 개발의 논리로 '상업지구'로 변경되어 솟아오른 건물들과 프랜차이즈 요식업체들로 채워졌기 때문이다.
그 후폭풍은 대학 앞 작은 가게들에도 영향이 있었다. '독 다방(독수리 다방)'이 '독 숍(독수리커피숍)'으로 바뀌고, 작고 이야기들 가득한 공간은 젠트리피케이션의 표징이 되었다. 그 가운데에 있던 '인문 사회과학 전문서점'도 예외는 아니었다. 한때 140여 개가 넘었던 이들은 하나둘씩 사라지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손에 꼽을 정도가 되었다. '오늘의 책'뿐만 아니라, '장백서점', '논장', '새날 서점'은 이제 추억 속에서만 존재하는 곳이 되어 버렸다.
“우리가 말하는 인문 사회과학은 물질적으로 변화를 가져올 힘을 만드는 것이다. 변화를 위해 필요한 이론과 지식, 실천 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요즘 경제경영서 분야에서 흔히 말하는 ‘인문학’은 결과적으로 현재 사회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장식물이다. 자본 중심의 잘못된 사회질서에서 오는 허전함을 메우기 위한, 그런데 필요한 인문학이라고 할까.”
-서울대 앞 '그날이 오면' 김동운 대표 인터뷰-
나는 '서점'을 참 좋아한다. 그냥 책들이 주는 기운과 새 책의 콩기름 냄새는 중독성이 강하다. 인터넷으로 주문이 되고, 전자책으로 구독도 되는 세상이지만, 책을 서점에서 대부분 구매한다. 김조한의 노래처럼 운동을 하고, 열심히 일과를 보내고, 넷플릭스를 보다가 주말엔 서점에 가고 싶은 욕구가 늘 일어나고 있다. 아는 척하며 똘똘이 스머프 역할을 하던 어설픈 어른에게 낯선 세상을 보여 주는 설레는 공간이 '서점'이 아닐까.

정치나 사회적인 행동이 '세상을 바꾸는'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냉소가 넘치는 요즘이다. 하지만, 그 지점에서 생각이 좀 많이 다르다. 지금 사는 이 시간도 지나온 누군가의, 이름 남기지 않은 어떤 이의 작은 노력과 고민, 그리고 일상이 만들어 준 선물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허전함만을 채우는 장식물이 아닌, 변화와 혁신을 위한 다소 어렵고 무거운 '사회과학'으로서의 '인문학'을 지지한다. 그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책들을 만나고 때로는 뜻밖의 만남이 되는 그런 서점이 늘어나기를 소망한다. 몇몇 독립서점들이 입소문을 타고 ‘업로드 셀피’를 위한 장소로 유명세를 누리고 있지만, 사실 허전함이 가득하다.
‘오늘의 책’이라는 사라진 ‘단골 서점’을 생각하며, 또 다른 단골 장소가 생기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작고 알찬 서점을 찾아 보고 싶다.
박스테
글로벌 IT컴퍼니(IBM, NTT)에서 비즈니스 컨설팅 디벨로퍼로 퇴직 - 사랑하는 아내와 잘 늙어 가는 백수를 꿈꾸는 끄적임
댓글 2
첫 번째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